지원&혜택 정보
“육아휴직 급여, 이렇게 하면 2배! 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 총정리”
ginger53
2025. 7. 17. 18:00
1. 육아휴직 제도의 기본 구조
육아휴직은 부모가 자녀 양육을 위해 일정 기간 직장을 쉬면서도 고용보험에서 급여를 지원받는 제도입니다.
보통 자녀가 **만 8세 이하(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)**인 경우 사용할 수 있으며,
최대 1년까지 가능합니다.
기본 급여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1~3개월: 통상임금의 80% (상한 150만 원)
- 4개월~: 통상임금의 50% (상한 120만 원)
2. ‘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’란?
이 제도는 부부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, 두 번째 사용자가 급여를 2배로 더 받도록 설계된 특별제도입니다.
특히 아빠가 두 번째로 사용하면 효과가 큽니다.
- 조건: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순차적으로 사용할 것
- 대상: 두 번째 사용한 사람
- 내용: 1~3개월 급여 한도를 기존 150만 원 → 최대 300만 원으로 상향
즉, ‘엄마 → 아빠’ 순서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아빠가 최대 900만 원(3개월) 지급받는 구조입니다.
3.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기본적인 육아휴직 급여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, 통상임금의 일정 비율입니다.
하지만 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가 적용되면?
- 1~3개월: 80% 지급 + 월 최대 300만 원
- 4개월~: 기존과 동일 (50%, 최대 120만 원)
여기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도 병행하면,
소득 보전 + 자녀 돌봄이 모두 가능해집니다.
4. 신청 조건과 절차
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를 받으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:
- 부부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할 것 (동시 X, 순차 O)
- 두 번째 육아휴직자는 같은 자녀를 기준으로 할 것
- 육아휴직 시작일 이전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
- 육아휴직 중 고용 유지될 것
신청은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사업장 인사팀을 통해 가능합니다.
5. 민간 vs 공무원 차이점
민간과 공무원 간에도 일부 차이가 존재합니다.
- 공무원: 육아휴직 급여는 정부지급, 상한선 다름
- 민간기업: 고용보험 통해 급여 지급
- 특수직(군인, 경찰 등): 별도 규정에 따라 운용됨
특히 공무원 부부일 경우, 급여가 아닌 무급휴직 + 수당 형식일 수 있으니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.
6. 실제 사례와 비교 분석
사례 1 – 엄마 먼저, 아빠 나중 육아휴직
- 엄마: 6개월 사용 (일반 급여 적용)
- 아빠: 3개월 사용 → 보너스제 적용, 월 300만 원씩 수령
- 총 지급액: 900만 원 + 450만 원 = 1,350만 원
사례 2 – 동시에 육아휴직 사용한 부부
- 아빠에게 보너스제 미적용
- 급여 상한 그대로(월 150만 원)
- 총 지급액 줄어듦
7. 놓치면 손해인 신청 타이밍 꿀팁
육아휴직 자체도 중요하지만, 언제 누가 먼저 쓸지에 따라 급여는 2배 차이가 납니다.
‘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’는 정부가 권장하는 가족친화정책으로, 제대로 활용하면 가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