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nger53 님의 블로그

ginger53 님의 블로그 입니다.

  • 2025. 7. 4.

    by. ginger53

    목차

      버스운전기사는 많은 사람들이 한 번쯤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직업 중 하나입니다. 특히 전라남도처럼 농어촌 지역이 넓고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곳에서는 버스기사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죠.
      그렇다면 정말 전남에서 버스기사로 일하면 월급이 300만원을 넘을 수 있을까요? 지금부터 실제 근무 조건을 바탕으로 수입을 하나하나 따져보며 현실적인 수치를 알려드리겠습니다.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“전남 버스기사 월급, 정말 300만원 넘을까? 직접 계산해봤습니다”

       

      1. 전남 버스기사 초봉, 정말 300만원 넘을까?

      1-1. 기본급부터 살펴보자

      전남 지역 대부분의 버스 운수회사는 기본급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, 최근 몇 년 사이 최저임금 상승과 더불어 기본급도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.

      신입 버스기사(1년 미만)의 경우, 월 기준 기본급은 약 220만~240만원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. 회사에 따라 식대나 직무수당이 별도로 포함되는 경우도 있지만, 이는 크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기본급은 230만원 내외라고 보시면 됩니다.

      1-2. 수당의 구성: 야근, 휴일, 연장근무

      본격적인 수입 차이는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.
      버스 기사의 급여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바로 수당입니다.

      • 연장근로 수당
      • 야간근로 수당
      • 공휴일 근무 수당
      • 특근 수당

      이 네 가지 항목만 잘 챙기면 기본급보다 더 많은 금액을 수당으로 벌 수 있습니다. 특히 공휴일에도 운행이 있는 전남의 시내·농어촌 버스는 주말과 공휴일 근무 시 통상임금의 1.5배 이상 수당이 붙습니다.

      1-3. 실수령액은 얼마일까?

      자, 이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. 전남에서 한 달 20일, 공휴일에도 일한다는 조건하에 버스기사가 벌 수 있는 월급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:

      항목예상 금액
      기본급 230만원
      연장/야간/휴일 수당 70만원
      기타 수당 (식대 등) 10만원
      4대 보험 공제 -40만원
      실수령액 270~290만원
       

      정리하자면, 한 달 실수령액 기준 약 270~290만원을 받을 수 있으며, 상황에 따라 300만원 돌파도 가능한 수준입니다.

       

      2. 근무일수와 공휴일 근무가 월급에 미치는 영향

      2-1. 한 달 20일 근무 시 급여 구조

      전남의 대부분 운수업체는 주 5~6일 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시외·농어촌 버스의 경우, 근무일은 회사 일정에 따라 월 22일 이상 배정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

      월 20일만 근무하고도 수당을 최대한 챙긴다면, 수입의 하한선이 아닌 상한선 근처까지 가는 것이죠.

      2-2. 공휴일 근무 수당은 얼마나 받을까?

      공휴일에 근무를 하게 되면 휴일 근로 수당이 붙습니다.
      예를 들어 설날, 추석, 광복절 같은 국경일에도 정규 운행을 하는 경우, 1일 기준 약 5~10만원 이상의 추가 수입이 발생합니다.
      1년에 공휴일이 15일 이상이기 때문에 이 수당은 연봉 수준에 영향을 줍니다.

      2-3. 연장 수당이 실수령에 미치는 결정적 차이 

      버스기사의 기본 근무 시간은 하루 8시간이지만, 실제로는 하루 9~12시간 이상 운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  이렇게 되면 매일 1~3시간의 연장근로 수당이 발생하게 되며,
      한 달 기준으로 보면 총 30~40시간 이상 초과 근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흔합니다.

      이 연장근무에 대한 수당만 따져도 월 약 40만~60만원 정도가 추가로 지급되어, 실수령액에 큰 영향을 줍니다.

       

      3. 전남 지역 버스기사의 근무 현실

      3-1. 시내 vs 시외, 어느 쪽이 수입이 더 좋을까?

      시내버스는 운행 거리가 짧고 배차 간격이 짧아 반복성이 많지만, 정해진 시간에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  반면 시외버스나 농어촌버스는 노선당 거리와 소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연장 수당이 많이 붙습니다. 수입 측면에서는 시외/농어촌이 조금 더 유리합니다.

      3-2. 공영제의 장단점

      전남의 일부 시군은 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여 버스기사들고정급 보장근무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.
      장점은 정기적인 수입 보장이며, 단점은 수당 폭이 줄어들 수 있음입니다.

      예를 들어 민간회사에서는 더 많은 근무로 수당을 챙길 수 있지만, 준공영제는 일정 급여 이상은 제한될 수도 있죠.

      3-3. 1년차 버스기사의 실제 후기

      실제 후기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있습니다.

      “처음에는 길 익히는 게 힘들었지만, 익숙해지고 나니 수당 포함해서 300만원 가까이 받으니까 만족스럽다.”

      이는 특히 장거리 농어촌 노선에서 일하는 기사들에게서 자주 들을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.

       

      4. 예비 버스기사에게 드리는 팁

      4-1. 입사 전 꼭 체크해야 할 사항

      • 면허 취득 조건 (1종 대형, 버스운전 자격증 필수)
      • 회사의 노선 구조 및 근무일수
      • 수당 기준과 지급 방식
      • 공영제 여부 및 고정급 비율

      4-2. 수입을 극대화하는 근무 전략

      • 연장근무가 많은 노선을 선택
      • 휴일 근무를 적극적으로 신청
      • 근무 스케줄에 따라 파트너 기사와 스왑 근무 조정 가능 여부 확인

      4-3. 장기적으로 보면 얼마나 벌 수 있을까?

      3년차 이상 경력 기사의 경우 수당 구조에 따라 월 350만원 이상도 가능합니다.
      회사에 따라 성과급, 명절 상여금, 복지포인트 등이 추가되면 연 4,000만원 이상도 가능합니다.

       

      5. 전남에서 버스기사하면 얼마 벌 수 있나?

    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, 전남에서 버스기사를 1년 정도 근무하면서 월 300만원을 넘기는 것은 충분히 가능합니다.
      물론 회사, 노선, 근무 스타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,

      • 기본급 230만원 전후
      • 수당 70만원 이상
      • 실수령액 270~290만원
        정도로 꾸준히 수입을 올릴 수 있으며, 노력 여하에 따라 300만원 초과도 현실적입니다.

      예비 버스기사분들이 참고하셔서, 안정적인 직업 선택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